Bees's avatar
Bees

June 16, 2021

0
선입견을 버리는 것

나는 미국 사람이고 미국 언론을 보고 듣고 자랐다. 그리고 그 때문에 나는 나도 모르게 이것저것에 대한 선입견을 품게 되었다. 그 선입견들 중에서 북한에 대한 것도 있다. 어릴 때 한국이란 곳이 어디였는지, 그리고 어떤 것인지를 아예 알지 못했다. 내가 아는 것은 이것 뿐이었다: 북한이 안 좋고 위험한 나라라는 것. 어릴 때, 북한에 대학 뉴스 기사가 나왔다면 북한이 또 미국을 협박했다, 또 위험한 핵미사일을 발전하고 있다, 또 안 좋을 것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만 계속 들었던 것 같다. 그런데 중학교 때쯤 언어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언어를 배우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 사람들과 채팅을 하기 시작했다. 그 사람들과 채팅하면서 다양한 나라들에 대한 것을 많이 알게 되었고 그 나라들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게 되었다. 그래서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: "내가 그 나라를 잘못 알고 있었구나. 내가 배워 왔던 것들 중에서 틀린 정보가 얼마나 많을까?" 그 생각을 하고 며칠 뒤에 북한이 또 뉴스에 나왔다. 그런데 늘 그렇듯 앵커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대신 북한에 대해서 더 많이 배워보겠다고 결심했다.

그 때부터 시간이 많이 지났다. 북한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고 언론의 말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는 것도 잘 배웠다. 이제 한국에 살고 있으니까 미국 언론 말고 한국 사람이 생각하는 북한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고 TV에서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. 오늘도 유튜브에서 한 탈북자가 한 인터뷰를 보고 내 선입견을 조금만 더 버리게 되었다. 사람은 선입견이 있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인데 그 선입견을 버리는 법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.

Corrections

선입견을 버리는 것

나는 미국 사람이고 미국 언론을 보고 듣고 자랐다.

그리고 그 때문에 나는 나도 모르게 이것저것에 대한 선입견을 품게 되었다.

그 선입견들 중에서 북한에 대한 것도 있다.

어릴 때 한국이란 곳이 어디였는지, 그리고 어떤 인지를 아예 알지 못했다.

내가 아는 것은 이것 뿐이었다: 북한이 안 좋고 위험한 나라라는 것.

어릴 때, 북한에 대 뉴스 기사가 나왔다올 때면 북한이 또 미국을 협박했다, 또 위험한 핵미사일을 하고 있다, 또 안 좋 것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만 계속 들었던 것 같다.

그런데 중학교 때쯤 언어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언어를 배우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 사람들과 채팅을 하기 시작했다.

그 사람들과 채팅하면서 다양한 나라들에 대한 것을 많이 알게 되었고 그 나라들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게 되었다.

그래서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: "내가 그 나라를 잘못 알고 있었구나.

내가 배워 왔던 것들 중에서 틀린 정보가 얼마나 많을까?"

그 생각을 하고 며칠 뒤에 북한이 또 뉴스에 나왔다.

그런데 늘 그렇듯 앵커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대신 북한에 대해서 더 많이 배워보겠다고 결심했다.

그 때부터 시간이 많이 지났다.

북한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고 언론의 말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는 것도 잘 배웠다.

이제 한국에 살고 있으니까 미국 언론 말고 한국 사람이 생각하는 북한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고 TV에서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.

오늘도 유튜브에서 한 탈북자가 한 인터뷰를 보고 내 선입견을 조금만 더 버리게 되었다.

사람은 선입견이 있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인데 그 선입견을 버리는 법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.

선입견을 버리는 것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나는 미국 사람이고 미국 언론을 보고 듣고 자랐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리고 그 때문에 나는 나도 모르게 이것저것에 대한 선입견을 품게 되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 선입견들 중에서 북한에 대한 것도 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어릴 때 한국이란 곳이 어디였는지, 그리고 어떤 것인지를 아예 알지 못했다.


어릴 때 한국이란 곳이 어디였는지, 그리고 어떤 인지를 아예 알지 못했다.

내가 아는 것은 이것 뿐이었다: 북한이 안 좋고 위험한 나라라는 것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어릴 때, 북한에 대학 뉴스 기사가 나왔다면 북한이 또 미국을 협박했다, 또 위험한 핵미사일을 발전하고 있다, 또 안 좋을 것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만 계속 들었던 것 같다.


어릴 때, 북한에 대 뉴스 기사가 나왔다올 때면 북한이 또 미국을 협박했다, 또 위험한 핵미사일을 하고 있다, 또 안 좋 것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만 계속 들었던 것 같다.

그런데 중학교 때쯤 언어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언어를 배우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 사람들과 채팅을 하기 시작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 사람들과 채팅하면서 다양한 나라들에 대한 것을 많이 알게 되었고 그 나라들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게 되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래서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: "내가 그 나라를 잘못 알고 있었구나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내가 배워 왔던 것들 중에서 틀린 정보가 얼마나 많을까?"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 생각을 하고 며칠 뒤에 북한이 또 뉴스에 나왔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런데 늘 그렇듯 앵커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대신 북한에 대해서 더 많이 배워보겠다고 결심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그 때부터 시간이 많이 지났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북한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고 언론의 말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는 것도 잘 배웠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이제 한국에 살고 있으니까 미국 언론 말고 한국 사람이 생각하는 북한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고 TV에서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오늘도 유튜브에서 한 탈북자가 한 인터뷰를 보고 내 선입견을 조금만 더 버리게 되었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사람은 선입견이 있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인데 그 선입견을 버리는 법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.


This sentence has been marked as perfect!

You need LangCorrect Premium to access this feature.

Go Premium